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구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ADC(항체-약물접합체) 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으로, 독자적인 링커·페이로드 및 결합 기술 기반의 차세대 ADC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오리온에 인수되면서 사명을 변경하고 본격적인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1. 사업 성과
가. 흑자 전환 및 실적 개선
- 리가켐바이오는 2024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516억 원, 영업이익 114억 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66.1%, 영업이익 297.7%, 당기순이익 181.2% 증가한 수치입니다.
- 이러한 실적 개선은 기술이전 계약에 따른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유입이 본격화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특히 일본 오노약품공업으로부터 ADC 신약 후보물질 LCB97 관련 마일스톤을 수령하며 수익성을 확보했습니다.
- 2024년 연간 매출액은 1,259억 원을 기록했으며, 2025년에는 매출액 2,040억 원, 영업이익 261억 원을 달성하며 흑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기술이전 성과
- 리가켐바이오는 독자적인 ADC 원천기술 'ConjuALL'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여러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및 공동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 주요 기술이전 사례로는 2023년 얀센에 LCB84를, 2024년 오노약품공업에 LCB97을 기술이전한 것이 있습니다. LCB97의 경우 총 7억 달러(약 9,434억 원) 규모로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이로 인한 선급금 및 단기 마일스톤 유입이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현재 TROP2 ADC 'LCB84'의 임상 1상 결과가 연내 공개될 예정이며, 성공적인 임상 결과와 얀센의 단독 개발 옵션 행사 시 추가 마일스톤 유입이 기대됩니다. 또한, ROR1 ADC 'LCB71'도 임상 1b상에 진입하며 적응증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 주요 파이프라인
- LCB84 (TROP2 ADC): 존슨앤드존슨(J&J)에 기술이전된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임상 1상 진행 중이며 연내 임상 결과 발표가 예상됩니다. TROP2는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되는 표적으로, 관련 ADC 시장의 잠재력이 큽니다.
- LCB97: 일본 오노약품공업에 기술이전된 ADC 후보물질로, 마일스톤 유입을 통해 회사의 흑자 전환에 기여했습니다.
- LCB71 (ROR1 ADC): pPBD(Prodrug Pyrrolobenzodiazepine) 플랫폼을 적용한 ADC로, 임상 1b상에 진입했습니다.
- LCB39 (STING 작용제): 면역항암 병용 전략으로 주목받는 물질로, 전임상에서 종양 조직 내 약물 특이성과 장기 면역 기억 유도 반응을 확인했습니다.
- 이 외에도 Delpazolid (결핵 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투자 전략

가. R&D 투자 확대 및 파이프라인 강화
- 리가켐바이오는 확보된 현금 유동성을 바탕으로 R&D 투자를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오리온 인수 및 기술이전으로 약 7000억 원 규모의 현금을 확보했으며, 이를 통해 후보물질 발굴 및 외부 기술 도입 등 공격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진행하여 ADC 파이프라인을 더욱 탄탄하게 구축할 예정입니다.
- 특히, 차세대 ADC 기술과 면역항암 분야 확장에 집중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오는 7월 1일 '글로벌 R&D 데이 2025'를 개최하여 ADC 기술의 차별화된 경쟁력과 중장기 성장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예정입니다.
나. 추가 기술이전 및 글로벌 협력
- 리가켐바이오는 현재 보유한 파이프라인의 임상 성과를 바탕으로 추가 기술이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마일스톤 유입과 수익성 확보의 핵심 전략입니다.
-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확대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ADC 시장의 성장세에 맞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입니다.
다. '돈 버는 바이오기업'으로의 전환 및 안정적인 재무 구조
- 기술이전 수익을 통해 지속적으로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손익분기점 도달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바이오 기업의 고질적인 문제인 적자 구조를 개선하고 안정적인 재무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오리온이라는 든든한 대주주의 지원 또한 회사의 안정적인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라. 전문가 의견 (투자 관점)
- 증권가에서는 리가켐바이오를 2025년 바이오텍 Top Pick으로 추천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0원을 유지하는 곳도 있습니다.
- 유망 바이오기업 투자 기준으로 '기업의 목표', '도달 방법', '인적 구성'을 모두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특히 임직원의 약 90%가 연구개발 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 단기적인 주가 변동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기술력과 파이프라인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요약하자면, 리가켐바이오는 독보적인 ADC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근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돈 버는 바이오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확보된 현금을 기반으로 공격적인 R&D 투자와 추가 기술이전을 통해 글로벌 ADC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
'관심 가져볼만한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 비전 (2) | 2025.07.12 |
---|---|
jyp 엔터테인먼트 (2) | 2025.07.12 |
셀트리온(바이오시밀러) (2) | 2025.07.06 |
대한전선의 전력산업 (4) | 2025.06.29 |
루닛(의료 AI 글로벌 선두 기업) (7)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