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대한 기업을 찾아서♥

에코프로비엠 기업 분석과 목표 주가

by 일치안키 2025. 4. 6.

2016년 5월 1일 양극재 사업 전문화를 위해 모기업 에코프로에서 물적분할한 에코프로비엠은 전구체부터 양극소재까지 일괄 개발 및 생산 체계를 구축하였으며,하이니켈계 양극재 제품을 가장 먼저 개발하고 양산화에 성공함으로써 국내 뿐 아니라 세계 글로벌 양극재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Top tier 기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급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이차전지 시장에서 에코프로비엠의 성장 전략과 적정 주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에코프로비엠 관련 사진

1. 사업구조와 성장 전략

에코프로비엠은 전기차 배터리의 성능을 결정하는 양극재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특히 니켈 함량이 높은 '하이니켈NCM' 제품에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배터리 생산 비용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로, 고성능 배터리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지금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가격 파괴 양극재입니다. 이동채 전 회장은 2024년 에코프로 프랜들리 데이에서 2026년 상반기에 50% 저렴한 가격 파괴 양극재가 나올것이라 예상하였으며, 이번 2025 인터배터리에서는 중국의 거린메이(GEM)와 인도네시아에서 니켈, 전구체(제련), 양극재까지 하는 풀 밸류체인(에코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2024년 8월 이미 MOU를 체결하였음)하고 있으며, 20% 영업이익률도 가능다고 회사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즉 에코프로비엠은 인도네시아를 거점으로 유럽과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는 플랜에 집중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난 실적에 영향을 끼친 악성 재고 자산은 줄고 있으며, 2사분기를 바닥으로  연말 부터 양산에 돌입해 내년 상반기 가격 파괴 양극재가 시장에 나온다면 그때가 에코프로비엠 실적의 진정한 터닝 포인트가 될것입니다.     
☞☞☞에코프로비엠 성장 전략 

2. 주요 매출액 분석

기업의 매출액은 산업의 성장성(EPS)시장 점유율(PER)로 결정됩니다.
에코프로비엠은 에코프로 그룹의 핵심 계열사입니다. 2023년까지 3년 동안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하였으며, 주가 또한 많은 상승을 기록하였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의 공급망을 보면 주 거래처가 삼성SDI, SK온입니다.  에코프로비엠의 핵심 공급망 구조(링크 확인)를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 2021년 매출액 1조 4850억 원  영업이익 1150억 원
★ 2022년 매출액 5조 3500억 원 영업이익 3800억 원
★ 2023년 매출액 6조 9000억 원 영업이익 1560억 원
★ 2024년 매출액 2조 8500억 원  영업이익 -404억 원(적자전환)

3.에코프로비엠의 예상 적정 주가는?

 

투자의 최소 기간은 3년에서 5년입니다. 워렌 버핏은 10년을 보유할 생각이 아니라면 단 10분도 보유하지 말라고 하였습니다. 결국에는 위대한 기업을 선택하고 얼마나 함께 오랫동안 동행할 수 있느냐가 핵심인 것 같습니다. 이동채 전 회장은 2030년 에코프로비엠의 매출액을 25조 원(에코프로 그룹의 2030년 매출액의 78%를 차지), 영업이익률 10% 이상을 예상했습니다. 2026년 상반기에 가격 파괴 양극재가 시장에 나온다면 그때부터가 매출 성장의 터닝 포인트가 될 것입니다.
 
※ 적정 가치는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추정치이므로 절대적인 수치가 아님을 당부들리며 한 번 계산해 보겠습니다.
 
★ 2030년도 예상 매출액 25조 * 영업이익률 15% = 3조 7500억(영업이익) 
(영업이익률 15%적용 이유: 이동채 전 회장은 보수적으로 10%를 넘긴다하였고, 이번 인터배터리에서 회사 대표는 20%의 영업이익률 달성은 가능하다고 하여 저는 보수적으로 평균을 적용하였습니다)
★ 3조 7500억 * 80% = 3조(당기 순이익)
★ 성장 산업의 업계 평균 밸류에이션은 평균 30정도 이지만, 선도 기업으로서의 프리미엄 20% 할증 하겠습니다.
★ 예상 시가총액은 3조 * 36 = 108조 나옵니다. 현재 시가총액은 11조 정도 입니다.
★ 결론적으로 적정 주가는 110만원 정도가 나오며, 현 주가 대비 9배 정도의 상승 여력이 나오게 되는 것 같습니다.

4.결론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투자는 단기적인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에코프로비엠의 기술력과 생산 능력은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주가 변동보다는 기업의 펀더멘탈과 잠재력에 집중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현명합니다.
 

※ 에코프로비엠 브랜드 필름

에코프로비엠 브랜드 필름

 

반응형